“무너진 농교육 정상화” 252명 국회의원 사무실 앞 1인시위 돌입
페이지 정보
- 작성자 : 강원도수어문화원
- 이메일 : kwdeaf@daum.net
- 작성일 : 23-10-13 15:29
- 조회 : 250회
관련링크
본문
“무너진 농교육 정상화” 252명 국회의원 사무실 앞 1인시위 돌입
에이블뉴스 바로가기
무너진 농(청각장애)교육 정상화”를 위한 국회의원 252명 지역사무실 앞 동시 릴레이 1인시위 모습. ©한국농아인협회
한국농아인협회(이하 농아인협회)가 지난 12일 “무너진 농(청각장애)교육 정상화”를 위한 국회의원 252명 지역사무실 앞 동시 릴레이 1인시위에 들어갔다.
교육은 모든 국민에게 보장된 기본권이고, 청각장애 학생도 마찬가지이지만 현재의 청각장애인 교육현장은 농인의 고유성과 교육의 방향성을 완전히 잃고 있다는 이유다.
청각장애 교육현장에서는 음성언어와 구어 중심으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어 청각장애인의 제1 언어인 수어가 교육현장에서 사라지고 있으며, 청각장애 학생들의 차별 없는 교육권과 학습권 보장을 위해 제공돼야 할 수어 통역과 문자 등 정당한 교육 편의가 이뤄지지 않다는 것.
1인시위는 제21대 국회 마지막 국정감사가 끝나는 오는 27일까지 17개 시도협회, 시‧군‧구지회와 연계해 진행된다.
요구안은 ▲국립 한국수어학교 설립을 포함한 청각장애학생 교육권 보장 종합대책 수립 ▲농학교와 일반학교 통합교육의 청각장애 교육 실태조사 ▲수어 중심의 농교육 환경 조성 ▲특수교사 양성체계 개편, 전문성 갖춘 교사 배출 등이다.
한국농아인협회(이하 농아인협회)가 지난 12일 “무너진 농(청각장애)교육 정상화”를 위한 국회의원 252명 지역사무실 앞 동시 릴레이 1인시위에 들어갔다.
교육은 모든 국민에게 보장된 기본권이고, 청각장애 학생도 마찬가지이지만 현재의 청각장애인 교육현장은 농인의 고유성과 교육의 방향성을 완전히 잃고 있다는 이유다.
청각장애 교육현장에서는 음성언어와 구어 중심으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어 청각장애인의 제1 언어인 수어가 교육현장에서 사라지고 있으며, 청각장애 학생들의 차별 없는 교육권과 학습권 보장을 위해 제공돼야 할 수어 통역과 문자 등 정당한 교육 편의가 이뤄지지 않다는 것.
1인시위는 제21대 국회 마지막 국정감사가 끝나는 오는 27일까지 17개 시도협회, 시‧군‧구지회와 연계해 진행된다.
요구안은 ▲국립 한국수어학교 설립을 포함한 청각장애학생 교육권 보장 종합대책 수립 ▲농학교와 일반학교 통합교육의 청각장애 교육 실태조사 ▲수어 중심의 농교육 환경 조성 ▲특수교사 양성체계 개편, 전문성 갖춘 교사 배출 등이다.
앞서 농아인협회는 무너진 농교육의 전면적인 재구조화와 수어 중심의 농교육 환경의 조성을 호소하고자 농인과 그 가족의 염원을 담은 3만인 서명과 기자회견 등을 진행했다.
또한 용산 대통령실과 교육부에 ‘농학생 교육권 보장을 위한 종합대책 마련’을 요구하는 정책건의서를 전달하는 등 농학생의 교육권에 대한 구체적 대책을 제시하고, 요구를 수용해 줄 것을 호소한 바 있다.
농아인협회는 “무너진 농교육의 결과는 농인의 일상생활은 물론 사회활동에 있어 다양한 차별과 편견을 양산하고, 의사소통과 접근성에 많은 제약을 가져오고 있다”면서 “제도적 불리는 물론 단순 노무에 종사하거나 상용근로자의 비율이 전체 장애인 중 가장 낮은 등 안정적인 일자리를 갖는데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토로했다.
이어 “이러한 영향은 타 장애유형과 비교해 낮은 수입과 가구 소득 등에 그대로 반영되어 빈곤한 삶으로 이어지고 있다”면서 “농인과 농학생이 더 이상 사회에서 차별받지 않고 당당한 시민으로서 존중받으며 살아가는데 교육이라는 기본권이 보장될 수 있게 국회의 관심을 촉구한다”고 덧붙였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또한 용산 대통령실과 교육부에 ‘농학생 교육권 보장을 위한 종합대책 마련’을 요구하는 정책건의서를 전달하는 등 농학생의 교육권에 대한 구체적 대책을 제시하고, 요구를 수용해 줄 것을 호소한 바 있다.
농아인협회는 “무너진 농교육의 결과는 농인의 일상생활은 물론 사회활동에 있어 다양한 차별과 편견을 양산하고, 의사소통과 접근성에 많은 제약을 가져오고 있다”면서 “제도적 불리는 물론 단순 노무에 종사하거나 상용근로자의 비율이 전체 장애인 중 가장 낮은 등 안정적인 일자리를 갖는데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토로했다.
이어 “이러한 영향은 타 장애유형과 비교해 낮은 수입과 가구 소득 등에 그대로 반영되어 빈곤한 삶으로 이어지고 있다”면서 “농인과 농학생이 더 이상 사회에서 차별받지 않고 당당한 시민으로서 존중받으며 살아가는데 교육이라는 기본권이 보장될 수 있게 국회의 관심을 촉구한다”고 덧붙였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