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체육관광부 지정 한국수어교육원
  • 국립국어원 적합과정 운영 교육기관

강원도농아인협회 강원도수어문화원

복지뉴스

HOME 정보마당 복지뉴스
복지뉴스

청각장애인 중·경증 장애등급 판정기준 반대

페이지 정보

  • 작성자 : 강원도수어문화원
  • 이메일 : ad@ad.com
  • 작성일 : 19-05-30 15:47
  • 조회 : 2,673회

본문

청각장애인 중·경증 장애등급 판정기준 반대

 

에이블뉴스, 기사작성일 : 2019-05-27 14:30:47

 

오는 7월 장애등급제 폐지에 따라, ‘장애의 정도가 심한 장애인’, ‘장애의 정도가 심하지 않은 장애인’으로 구분되는 가운데, 장애의 벽을 허무는 사람들(장애벽허물기)이 27일 성명을 내고 청각장애인의 중‧경증 구분이 부당하다며 장애등급 판정기준에 반대 입장을 냈다.

장애벽허물기는 정부가 정비하는 기준 중 ‘청각장애 중증’을 보면 “귀의 청력 손실이 각각 80데시벨(dB) 이상인 사람”으로 과거 청각장애 2, 3급에 해당한다고 설명했다.

‘청각장애 경증’의 경우는 “1. 두 귀에 들리는 보통 말소리의 최대의 명료도가 50 퍼센트 이하인 사람, 2. 두 귀의 청력손실이 각각 60데시벨(dB) 이상인 사람, 3. 한 귀의 청력손실이 80데시벨(dB) 이상, 다른 귀의 청력 손실이 40데시벨(dB) 이상인 사람”이라고 해, 과거 청각장애 4~6급을 옮겨다 놓았다고 꼬집었다.

장애벽허물기는 “장애등급제 폐지는 장애인들이 가진 욕구를 올바로 파악하고 이에 맞는 맞춤형 서비스를 하려는데 있다”면서 “현재 정부가 개선을 추진하는 방식으로는 한계가 있다. 청각장애인의 욕구를 파악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활동이 자유롭다는 이유로 다른 장애인들의 판정기준에도 들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현재 정부가 정비하고 준비하고 있는 장애등급의 판정기준에 반대한다. 특히 청각장애인과 관련하여 중, 경증으로 나누는 정책을 도입해서는 안 된다”면서 “소리를 듣는 정도가 아니라 자신의 욕구나 환경, 능력 등을 면밀히 볼 수 있는 청각장애인 정책이 필요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완전한 장애인 등급제의 폐지가 정답”이라고 촉구했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출처 http://abnews.kr/1MHY 

QUICK MENU
강원도내 교육현황
교육일정
교육접수

개인정보처리방침

닫기

홈페이지 이용안내

닫기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닫기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