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체육관광부 지정 한국수어교육원
  • 국립국어원 적합과정 운영 교육기관

강원도농아인협회 강원도수어문화원

복지뉴스

HOME 정보마당 복지뉴스
복지뉴스

수어방송 화면을 내맘대로… '스마트 수어방송' 개시

페이지 정보

  • 작성자 : 강원도수어문화원
  • 이메일 : ad@ad.com
  • 작성일 : 19-07-05 10:05
  • 조회 : 2,637회

본문

수어방송 화면을 내맘대로… '스마트 수어방송' 개시

201907050903467031_l.jpg
스마트 수어방송 서비스는 사용자가 수어화면의 크기·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서비스다. 방송통신위원회 제공


청각장애인들이 수어방송을 볼때 수어화면 위치와 크기를 마음대로 바꿔 방송을 볼 수 있게 됐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청각장애인의 방송접근권 확대를 위해 4일부터 스마트 수어방송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이 서비스는 스카이라이프, SK브로드밴드를 통해 KBS, MBC, SBS, YTN, JTBC, TV조선 채널에서 시청할 수 있으며, 7월말부터는 CJ헬로를 통해서도 시청 가능하다.

스마트 수어방송은 MBC '뉴스데스크', JTBC '아침&뉴스', YTN '뉴스N이슈', TV조선 '뉴스9' 등 보도프로그램, KBS2 '세상에서 가장 예쁜 내 딸' 등 드라마와 SBS '정글의 법칙' 등 예능프로그램들에 적용되고 향후 편성프로그램을 점차 다양하게 확대할 예정이다.

스마트 수어방송 서비스는 사용자가 수어화면의 크기·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서비스로, 수어화면을 확대해서 보고자 하는 청각장애인의 요구와 수어화면이 방송을 가리는 것에 대한 비장애인의 개선 요구를 모두 반영한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서비스다.

이효성 위원장은 4일 YTN 스마트 수어방송 스튜디오 등을 방문해 준비현황을 최종 확인하고 서비스 개시 선포식을 가졌다.


또한, 스마트 수어방송 서비스에 참여하고 있는 KBS·MBC·SBS·YTN·JTBC·TV조선·CJ헬로·KT스카이라이프·SK브로드밴드, 한국농아인협회,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시청자미디어재단 관계자와 간담회를 통해 현장의 의견을 듣는 시간을 가졌다.

이 위원장은 "스마트 수어방송 서비스 개시는 방송사와 관계기관이 다년간 공동 노력을 기울인 결과"라며 "앞으로도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살아가는 환경을 만들 수 있도록 장애인의 방송접근권 확대를 위해 노력해 줄 것"을 당부했다.

스마트 수어방송 서비스는 방통위와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가 2014년 기술개발을 시작, 2016년 시범방송을 거쳐 장비 이중화 등 안정적 시스템을 구축했다.

monarch@fnnews.com 김만기 기자

 

출처 http://www.fnnews.com/news/201907050902425265 

QUICK MENU
강원도내 교육현황
교육일정
교육접수

개인정보처리방침

닫기

홈페이지 이용안내

닫기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닫기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