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체육관광부 지정 한국수어교육원
  • 국립국어원 적합과정 운영 교육기관

강원도농아인협회 강원도수어문화원

복지뉴스

HOME 정보마당 복지뉴스
복지뉴스

청각장애 가족들 '투명 마스크' 직접 만들어

페이지 정보

  • 작성자 : 강원도수어문화원
  • 이메일 : kwdeaf@daum.net
  • 작성일 : 20-07-07 09:31
  • 조회 : 1,838회

본문

청각장애 가족들 '투명 마스크' 직접 만들어

​

◀ANC▶ 이젠 생활필수품이 된 마스크, 청각장애가 있는 사람들에겐 상대방의 입모양을 볼 수 있는 '투명 마스크'가 필요한데요.

시중에 판매되는 것이 없어서 직접 만들어 쓰는 수밖에 없다고 합니다.

보도에 대구MBC손은민 기자입니다. ◀END▶

◀VCR▶ KF 마스크 중앙에 동그랗게 구멍을 내고, 그 위에 투명한 위생 마스크를 덧댑니다. 혹시나 감염될까, 빈틈은 없는지 두 번 세 번씩 확인합니다.

◀SYN▶ "이거 붙이는 게 조금 까다로워요. 가운데 잘 맞춰야 해서.. 시간이 좀 걸리죠."

대구의 한 장애인 단체가 '입이 보이는' 마스크를 직접 만들기 시작했습니다.

입 모양을 보며 소통하는 청각 장애인들을 위해서입니다.

청각 장애인 당사자와, 그 가족, 자원봉사자들이 힘을 보탰습니다.

◀INT▶정재은/대구장애인부모회 부회장 "저희 아들 두명이 청각장애인 입니다. 학교에서 마스크를 끼고 학습을 할 때 학습권이 보장되지 않는 것에 대한 염려가 되게 많았는데요. 학생들을 위한 (투명) 마스크는 배급을 받을 수 없었어요. 숫자가 부족해서.."

청각 장애인들은 수어만으로는 상대방의 말을 전부 이해하기 힘든 경우가 많습니다.

같은 손짓도 입 모양과 표정에 따라 전혀 다른 의미가 되기도 합니다.

하지만 시중에 판매되는 제품이 없어 투명 마스크를 구하긴 쉽지 않습니다.

◀INT▶손정호/대구영화학교 교사 "입을 막고 있는 상태에서 '궁금하다'라고 말하면 표정이 없잖아요. 정확하게 '궁금하다' 이런 식으로 표현해주는 비수지(손짓 이외 신호)가 소통하는 데 40% 이상을 차지하거든요. 그들과 소통하려면 립뷰 마스크가 좀 더 많이 보급돼야.."

그동안은 투명 마스크를 개발한 대전의 한 언어재활센터로부터 기부받아 특수학교 교사에게만 우선 지급했는데, 전면 등교 수업이 이뤄지면서 그마저도 부족해졌습니다.

자원봉사자에 의존해 수작업으로 만들다 보니, 하루 만들 수 있는 양도 제한적입니다.

대구엔 2만 2천여 명의 청각장애인이 있습니다.

코로나19가 누군가에게 또다른 장애가 되지 않도록 특수 마스크 지원 대책이 필요해 보입니다.

MBC뉴스 손은민입니다.
QUICK MENU
강원도내 교육현황
교육일정
교육접수

개인정보처리방침

닫기

홈페이지 이용안내

닫기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닫기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