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체육관광부 지정 한국수어교육원
  • 국립국어원 적합과정 운영 교육기관

강원도농아인협회 강원도수어문화원

복지뉴스

HOME 정보마당 복지뉴스
복지뉴스

청각 장애인들에게 필요한 '특수 마스크', 당국은 '뒷짐' [김동환의 김기자와 만납시다]

페이지 정보

  • 작성자 : 강원도수어문화원
  • 이메일 : kwdeaf@daum.net
  • 작성일 : 20-09-07 10:06
  • 조회 : 1,454회

본문

청각 장애인들에게 필요한 '특수 마스크', 당국은 '뒷짐' [김동환의 김기자와 만납시다]

 출처https://bit.ly/3jP1g6v

 ed84f49666577acb221adec38e116592_1599440715_7985.jpg

안정인 서울농아인협회 강북구지회장이 직접 제작한 청각 장애인용 특수 마스크. 서울농아인협회 제공

지난 4월 태국 정부의 발표에 지구촌의 눈이 쏠렸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를 맞아 청각 장애인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돕고 수어(手語) 통역사의 전체적인 표정을 보기 쉽게 입술 모양을 읽을 수 있는 특수 마스크를 제작·배포한다고 밝혀서다.

 

청각 장애인의 의사소통 수단인 수어는 단순히 손으로 하는 얘기가 아니다. 3자가 보기에는 손으로만 소통하는 것 같아도 화자의 표정이 더해져야 보는 이가 수어의 정확한 뜻을 알 수 있다. 코로나19로 마스크를 항상 착용해야 하는 현실에서 얼굴의 반 이상이 가려져 청각 장애인의 의사소통이 어려워진 게 현실이다. 입 모양이 보이는 마스크를 배포한다는 태국 정부의 발표가 뜨거운 관심을 받은 이유였다.

 

특수 마스크는 딴 나라 이야기김미애 국민의힘 의원 당국조차 나 몰라라’”

 

태국과 달리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안타깝게도 정부 차원에서 이러한 특수 마스크를 배포하거나 일반 기업이 정식으로 제작·판매한 바 없다. 관할 당국인 식품의약품안전처에도 비말(침방울) 차단 성능과 안전성을 입증받고자 특수 마스크 허가를 받으려는 기업 문의는 없었다고 한다.

 

그런 탓에 몇몇은 대신 그나마 의사 소통이 쉬운 망사 마스크를 쓰고 있는 게 현실이다. 그러나 온라인 쇼핑몰에서 망사 마스크등으로 제품을 검색하면 식약처의 정식 허가를 받지 않은 제품이니 꼭 확인하고 구매하시기 바랍니다라고 공지가 뜨는 것을 쉽게 볼 수 있다. 마스크는 미세입자 차단 성능 검사 등을 통해 식약처의 허가를 받은 의약외품과 허가받지 않은 공산품으로 구분되는데, 망사 마스크는 공산품에 속한다. 결국 청각 장애인들은 의사소통이 어렵지만 식약처의 허가를 받은 마스크를 쓰거나 안정성을 입증받지 못한 망사 마스크를 울며 겨자 먹기 식으로 착용해야 하는 사실상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에 김미애 국민의힘 의원이 지난달 27일 페이스북에서 비말 차단 효과가 입증된 청각 장애인용 특수 마스크의 보급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이기에 이르렀다.

 

 ed84f49666577acb221adec38e116592_1599440747_0583.jpg

태국 정부가 청각장애인을 위해 개발한 입술 모양을 읽을 수 있는 특수 마스크. 네이션 캡처

방역 문제를 다루는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인 김 의원은 청각 장애인의 의사소통은 수어와 입 모양을 함께 보는 게 중요하다보건복지부와 식약처는 특수 마스크의 제작과 인증을 나 몰라라하고 있다고 당국의 무관심을 지적했다.

 

귀가 아프지 않거나 숨쉬기 편한 마스크 등 일반인의 수요가 있는 제품은 속속 등장해 잘 팔리는데, 청각 장애인이 절실히 원하는 투명 마스크는 여전히 소외돼 있다.

 

입을 볼 수 없는 건 소통 단절을 의미일부 단체는 직접 제작

 

학교 등에 간 걸 빼고 저희 협회로 들어온 것은 한 스무 장 정도 됩니다.”

 

서울 수어통역센터지원본부(서울농아인협회) 정진호 과장은 지난달 31일 세계일보와 통화에서 지금까지 민간에서 기부받은 특수 마스크는 얼마나 되느냐는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정부와 기업 모두 관심을 안 두다 보니 자원봉사 형식으로 특수 마스크를 만들어 청각 장애인을 돕고 있는 게 우리 현실이다. 이 마스크 역시 안정성까지 입증된 것은 아니다.

 

ed84f49666577acb221adec38e116592_1599440775_4732.jpg

4일 오후 대전의 한 도로에 마스크 착용 홍보 현수막이 붙어 있다. 뉴스1

서울농아인협회가 파악한 서울 거주 청각 장애인은 전체 5만명 규모다. 이 중 보청기가 있어서 어느 정도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이들을 제외한 농인(聾人)30%가량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를 토대로 서울에서만 최소 하루 15000개의 특수 마스크가 필요하다는 결론이 나온다.

 

이 같은 상황을 반영하듯 지난 7월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정부가 직접 투명 마스크를 제작해 청각 장애인의 소통과 안전을 보장해달라는 글이 올라오기도 했다.

 

청원인은 마스크 착용으로 입을 볼 수 없는 상태에서 대화를 나눈다는 것은 청각 장애인에게 소통의 창구를 막는 것이자 사회 단절을 의미한다일부 민간에서 투명 마스크를 제작하고는 있지만, 바이러스 침투를 막기 위한 완전한 밀폐는 어렵다고 토로했다.

 

이어 이러한 문제가 있어도 당장을 위해 불안전한 투명 마스크를 착용하는 게 청각 장애인들의 현실이라며 이들의 소통과 안전을 보장하려면 공식적으로 투명 마스크를 개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김동환 기자 kimcharr@segye.com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QUICK MENU
강원도내 교육현황
교육일정
교육접수

개인정보처리방침

닫기

홈페이지 이용안내

닫기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닫기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