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https://bit.ly/3CrduMf
GIST, 청각장애인 위한 박물관 해설 수어 번역 서비스 실시
수어 DB 구축 및 3D 모션 교정 기술 활용해 AI 서비스 구현
정확한 의미 전달 집중…내년 고도화된 서비스 가능해질 것

# 광주광역시에 거주하는 청각장애인 A씨. 오랜만에 집 근처에 있는 국립광주박물관을 찾았다. 최근 국립광주박물관 아시아도자문화실에서 청각장애인을 대상으로 인공지능(AI) 기반 한국수어 번역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반가운 소식이 들려왔기 때문이다.
알고 싶은 전시물 해설문의 QR 코드를 디바이스에 인식시키자, 아바타가 해설문을 차분히 수어로 번역해준다. 여성 아바타와 남성 아바타 중에 선택할 수도 있다. 또 시력이 좋지 않은 A씨는 원하는 글씨 크기를 설정해 좀 더 크게 볼 수 있어 만족스러웠다.
게다가 비수지 표현도 꽤 자연스러워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없었다. '이 같은 서비스가 여러 박물관과 미술관에서 제공된다면 좀 더 문화생활을 즐길 수 있을 텐데'라는 아쉬움도 드는 A씨다.
청각장애인들이 다양한 문화생활을 즐길 수 있도록
보편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목적

국립광주박물관 1층 아시아도자문화실에 가면 인공지능(AI)이 청각장애인의 '귀'가 되어 준다. 원하는 전시 콘텐츠를 선택해 바코드를 인식시키면 태블릿에 아바타가 등장해 해당 전시의 해설을 들려준다. 그동안 여러 제약으로 인해 박물관에 가기를 꺼려했던 청각장애인들도 이제 마음껏 문화생활을 향유할 수 있는 날이 머지않은 듯하다.
광주과학기술원(GIST‧지스트) 한국문화기술연구소는 26일 국립광주박물관의 아시아도자문화실에서 청각장애인을 위한 '박물관 해설문 한국수어 번역 시범 서비스'를 선보였다. 한국문화기술연구소는 문화기반시설의 전시 해설과 안내 방송을 문자 및 한국수어 애니메이션으로 변환하는 기술 개발을 위한 문화체육관광부 문화기술 연구개발 정책지정 과제에 선정됐다. 과제 기간은 지난해 4월부터 내년 12월까지다.


현재 청각장애인을 위해 소리(음성)를 문자로 변환해 주는 기술은 이미 상용화됐으나 청각장애인의 제1언어인 한국수어로 변환해주는 기술은 여전히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GIST 한국문화기술연구소는 다음달 7일까지 시행되는 시범사업을 시작으로 향후 박물관‧미술관‧전시관 등 서비스 대상을 확대함으로써 청각장애인의 문화생활 진입장벽을 낮추는 데 기여하겠다는 포부다.
전문구 한국문화기술연구소장은 "이번 국립광주박물관에서 진행되는 시범 서비스는 청각장애인들이 박물관, 미술관, 전시시설 등 문화생활을 즐길 수 있도록 보편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목적"이라면서 "다양한 문화 서비스를 통해 누구나 소외됨 없이 문화를 향유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